The Revelation of Serenity and Sublimity
At a glance, the objects contrived in the paintings of Sunghea Paik seem to be the cosmos. Small and big dots completely filling the canvas remind us of the blinking stars in the night sky. The semi-circles and big circles positioned on the bottom, top or center of the screen look very much like the moon or planets in space. However, Paik’s art works merely resembles the scene of the cosmos and cannot be called as a painting “of the cosmos”. They are only a metaphor as a kind of analogy about the cosmos.
“When we are scattered into the cosmos, the probability for us to arrive at planets or nearby them is said to be smaller than one of a trillion x a trillion x a billion. This is same probability having 1 attached with 33 zeros as the denominator and the numerator 1” (Carl Sagan, Cosmos)
This scientific statement is can be equally applied to paintings. From a physical point of view, Paik ‘s paintings are a mixture of materials and acrylic paint. In the context that her art works are abstract paintings, the ultimate effects from such substances are related to monochrome paintings in the 2 dimensional art and. Before I elaborate m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rocesses for her art work production and the following quotation would be a good guide.
“Although it looks like a simple images, such painting undergoes long lasting endurance until it is filled with uniform dots of ethereal color. First, the artist begins her art work by making concave and convex textures on the screen. Most of the art works contain big and small irregular lines projecting about 2-3 mm on all or partial parts of the canvas. These are a kind of low relief made of several materials. Once this basic process is finished, the surface is coated with thick color paint (acrylic) and these colors define the tone of the art work.”
- Yi Soon Kim <The Accumulation of Time and The Encounters of All Eternity>
In the early stages of her art works, Sunghea Paik makes an even thickness of paint layers by applying the materials on the background of the canvas. Then she usually coats those layers with primarily blue colors and the “Accumulation of Time” is formed by the numerously repeated brushstrokes.
When we examine the career of Sunghea Paik, she studied art in university in the late 1970’s which was an era when Korea’s modernism based on monochrome painting(Dansekhwa) was popular. Therefore, she would have experienced Korea’s distinctive modernism via art classes or on-site art exhibitions. At that time, the essence of monochrome painting was the the “flatness” of painting. And in terms of art history, this flatness was a core concept to represent ‘Modernity’. ‘Modernity’ significantly affected not only people’s lives but also individual thoughts during those days. Modernization project such as so-called scientific and rational thinking, introduction of bureaucracy and improvement of life occupied the Korean society.
Establishment of so-called modern view for the world based on rationalism is same as Carl Sagan‘s quote about the universe mentioned above. The fact that he did not view the cosmos as a target for awe and respect but viewed it as a target for analysis is not different from the Copernican Revolution. The man’s landing on the Moon in July 20, 1969 was a profound historic moment which shifted the Moon from myth to the area of science. For the East, it was a symbolic event which broke the world view of Lee Baek (famous ancient Chinees Poet),
Although it has been scientifically proven that the Moon is not a place where two rabbits are milling grains but a planet filled with dust, soil and rocks, the reality is that many artists including poets, painters, musicians and movie directors continue their art activities with the theme of the cosmos. Sunghea Paik does not drastically diverge from this sort either. It is evident that more than the cosmos itself being a theme of her art, it is rather a kind of metaphor for the voyage of life. The countless brushstrokes on canvas, the layout of dots and their expressions – big and small, continual, accompanying shadows, far and near, exposed and hidden etc. - are an excellent metaphor for so many relationships that have passed through a life not too short. This is a similar to how Kim Hwan Gi (A renowned Korean painter) had put numerous dots on his canvas while he yearned for his friends and families in Korea when he was far away in New York. Respectively, the curve lines of the waves Sunghea Paik paints could be different mishaps experienced during her life or could also be a metaphor for the goal she orients her life towards and her desire to reach the brilliance of life.
I assume that Sunghea Paik would have been submerged in many kinds of thoughts about life as she repeatedly painted over different colors on the screen. I think such thoughts were not a sumptuous one some might have like “to continuously let go desire” but close to a “calm” mind (her placing the dots on the canvas reminds me of the motion how housewives’ earnestly sew stich by stich). Such repeated motions show insight that our daily routine is also repeated as well. Just how the night passes and a new day dawns (as a result, the past night ceases to exist), the repetitive motion of covering the painted color with a different one is close to self-denial through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Merleau Ponty). In relations to this, the following statement of Kim Lee Soon is convincing:
“However, while repeated brushstrokes from monochrome painters in the 1970’s are interpreted as a devout “Practice”, repetition in Sunghea Paik’s art works signifies accumulation of time. Contrasting to monochrome(Dansekhwa) painters such as Seo-bo Park, Sanghwa Jeong and Young-woo Kwon who emphasize their physical aspects by actively exposing the trace of activities, Sunghea Paik minimizes her trace of activities. By barely exposing the complicated and enduring procedures of countless brushstrokes, the spatial sense of the screen becomes more significant and her screen is filled with stillness.”
For most artists, the artistic practice is based on physical labor. In Western societies, the denial of this notion came into form as “Conceptual art” in the 60’s-70’s. The denial of art pieces derived from labor as an object of sales progresses to the form of information derived from an idea.
Yet, in the instance of paintings, the modern artistic expression combined with physical labor invokes conceptualization. The phenomenon of conceptualization appeared in Korea as it did for the Western minimal paintings. In 1970’s when monochrome painters occupied the Korean Art circle, the fact that such monochrome paintings were regarded as “Modern Art” and “Avant-garde Art” is deeply related to this conceptual aspect. And in its center, there was the so-called Clement Greenberg ‘s concept of ‘Flatness’.
Sunghea Paik’s work is also related to this concept of ‘Flatness’. The acknowledgement that the art format of paintings is based on a 2-dimensional plane makes us regard her artistic statement as modern. However, we should recall that Sunghea Paik majored in Oriental paintings in her university. My speculation is that her career of drawing and learning Oriental paintings would have enabled her to uniquely interpret the modern monochrome paintings and to apply it on the collective abstract paintings we see now. ‘Stillness’, defined as a feature of Paik’s work by Kim Lee Soon, and ‘Calm mind’, as I mentioned earlier, are characteristics of Oriental paintings that embodies the artist’s attitude towards nature and therefore can also be an artistic expression about her works.
If the audience felt calmness and serenity in their hearts as they observe Sunghea Paik’s art works, there has been a clear mutual communication. Furthermore, if they feel the sublimity bestowed by the huge size of the paintings, it would be even idyllic. However, such emotions are not pertinent for all of her art works. The rhythmic percussions resembling huge waves that can be seen in some of her works reversely gives a dynamic feeling. As so, Paik‘s art works have ambivalent aspects. More than being a flaw of her works, it seems to be an issue of choice of the direction for her future works.
Like the analysis from Immanuel Kant, sublimity is a kind of beauty felt by “Absolutely big things beyond all comparison”. But he also says ”Sublimity is not amidst the natural objects but in our minds (「Critique of Judgement」, Immanuel Kant」 In other words, the entity who feel sublimity by seeing something like a huge mountain is the people‘s mind itself. Most of Sunghea Paik‘s art works are large in their size and as the audience stand in front of them, such art pieces yields a touch of sublime emotions.
Jinsup Yun PhD:
Vice President of International Art Critics Association
Director of Seoul Media Art Biennale (2021) and ChangWon Sculpture Biennale (2022)
담담한 정서와 숭고미의 발현
일견 백성혜가 그림의 소재로 다루고 있는 대상은 우주처럼 보인다. 화면을 가득 채운 크고 작은 점들은 밤하늘에 명멸하는 별들을 연상시킨다. 어디 그뿐인가. 화면의 아래와 위, 혹은 중앙에 포진한 둥근 반원이나 커다란 원은 달이나 화성과 같은 우주의 행성과도 흡사해 보인다.
그러나 백성혜의 작품들은 우주의 모습을 연상시킬 뿐, 그 자체 ‘우주에 대한’ 그림이라고 할 수 없다. 그것들은 우주에 대한 일종의 ‘유비(analogy)’로써 대상에 대한 하나의 은유에 불과하다.
“우리가 우주 속에 내팽개쳐졌을 때 행성이나 그 근처에 닿을 수 있는 확률은 1조를 1조배하고 거기다 10억을 곱한 것 중의 하나보다도 작다고 한다. 1에다 동그라미 서른 세 개를 붙인 수를 분모로 하고 분자를 1로 삼은 수 보다 더 작은 확률이 되는 셈이다.”(칼 세이건, 코스모스)
이러한 과학적 진술은 회화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물리적인 측면에서 볼 때 백성혜의 그림은 제소와 아크릴 물감의 혼합물이다. 여기서 그녀의 작품경향이 추상화라는 점을 염두에 둘 때, 궁극적으로 이러한 물질들이 가져다주는 효과는 단색조의 평면회화와 관련이 있다. 이 진술을 좀 더 개진하기에 앞서 참고로 그녀의 작품 제작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 다음의 인용문은 좋은 길잡이가 돼 준다.
“일견 단순해 보이는 화면이지만, 균질하면서도 미묘한 색점이 채워진 화면이 생성되기까지는 지난한 작업과정을 거치게 된다. 우선, 작가는 화면에 요철을 만드는 작업부터 시작한다. 작품 대부분은 2-3mm 두께로 튀어 오른 크고 작은 불규칙한 선들이 화면 전체 혹은 일부에 덮여 있는데, 이는 제소로 이루어진 일종의 저부조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기초작업이 완료되면 화면 전체에 색이 진한 물감(아크릴)을 펴 바르는데, 이 색이 작품의 색조를 결정한다.”
-김이순, <겹겹의 시간과 억겁의 만남 : 백성혜의 <천의 인연> 중에서-
작업의 초기에 백성혜는 캔버스의 바탕에 제소를 발라 전체적으로는 일정한 두께의 물감층을 만든다. 그리고 그 위에 주로 청색을 주조로 한 색을 칠하게 되는데 여기에는 헤아릴 수없는 붓질의 반복에 의한 ‘시간의 축적’이 있게 된다. 백성혜의 경력을 살펴볼 때 그녀가 미술대학을 다닌 70년대 후반은 단색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더니즘이 성행할 때였다. 따라서 그녀는 학교의 수업이나 미술현장을 통해 한국 특유의 모더니즘을 경험했을 것이다. 당시 단색화의 요체는 회화의 ‘평면성’이었다. 그리고 미술사적인 측면에서 볼 때, 바로 이 평면성이야말로 ‘근대성(modernity)’을 상징하는 핵심적 개념이었다. 당시 근대성(현대성)은 비단 생활뿐만 아니라 개인의 의식(意識)에도 마찬가지로 큰 힘을 발휘했다. 이른바 과학적이며 합리적인 사고, 관료제의 도입과 생활의 개선 등 근대화의 프로젝트가 한국사회를 점유했던 것이다.
이른바 과학적 합리성에 근거한 근대적 세계관의 수립은 앞에서 인용한 칼 세이건의 우주에 대한 진술에서 보는 것과 같다. 우주를 외경의 대상이 아니라 분석의 대상으로 본다는 것은 이른바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에 다름 아니다. 1969년 7월 20일, 아폴로 11호의 역사적인 달 착륙은 달이 신화의 영역에서 과학의 영역으로 전환된 일대 사건이었다. 동양의 입장에서 볼 때 이는 이백의 세계관이 무참히 깨지는 상징적 사건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달이 방아를 찧는 토끼 두 마리가 사는 곳이 아니라 먼지와 흙, 암석으로 뒤덮인 평범한 행성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지금도 시인을 비롯한 화가, 음악가, 영화감독 등등 많은 예술가들이 여전히 우주를 주제로 예술 활동을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백성혜 역시 이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그녀에게 있어서 우주는 그 자체가 주제라기보다는 오히려 인생항로에 대한 하나의 비유로 받아들여진 흔적이 역력하다. 화면에 가하는 무수한 붓질과 점들의 배치와 표정들은-크고 작은 것, 중복된 것, 그림자를 지닌 것, 가까운 것과 멀리 떨어져 있는 것, 드러난 것과 숨겨진 것 등등-짧지 않은 인생을 살아오면서 겪은 숱한 인연에 대한 훌륭한 유비이다. 이는 마치 수화 김환기가 멀리 떨어진 뉴욕에서 고국에 두고 온 친구와 친지들을 그리워하며 무수한 점을 찍었던 것과도 유사하다. 마찬가지 의미에서 백성혜가 그리는 파상의 곡선은 인생을 살아오면서 겪은 다양한 파란(波瀾)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자신의 인생이 지향하는 지점과 삶의 광휘에 다가가고자 하는 욕망에 대한 유비일 수 있다.
짐작컨대 뉘앙스가 다른 색을 화면에 무수히 반복해 칠하는 동안 백성혜는 삶에 대한 다양한 사념(思念)에 잠겼을 것이다. 내가 느끼기에 그 사념이란 누군가에게 있어서처럼 ‘끊임없이 마음을 비우는’ 것과 같은 그런 거창한 사유가 아니라, 오히려 ‘담담한’ 심경에 가까웠을 것 같다(이 때 그녀의 점을 찍는 행위는 아낙네들이 공을 들여 한 땀 한 땀 수를 놓는 수예의 동작을 연상시킨다). 그 반복되는 동작은 마치 일상이 그저 그렇게 반복된다는 것에 대한 통찰을 보여준다. 밤이 지나면 새날이 밝아오듯이(따라서 지나간 밤은 무화된다.), 이전에 칠한 색을 다른 색으로 덮는 반복되는 동작은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메를로 퐁티) 사이의 신체적 접촉을 통한 자기 부정에 가깝다. 이와 연관시켜 볼 때 김이순의 다음과 같은 진술은 설득력이 있다.
“그러나 1970년대의 단색조 화가들의 반복적인 붓질이 흔히 ‘수행’의 차원에서 해석되는 것과 달리, 백성혜의 작품에서 반복은 시간의 축적을 의미한다. 또 박서보, 정상화, 권영우 등의 단색조 화가들이 행위의 흔적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면서 작가의 신체성을 강조하는데 비해, 백성혜는 행위의 흔적을 최소화한다. 대신 이처럼 복잡하고 지난한 과정과 무수히 반복된 붓질이 잘 드러나지 않게 됨으로써 화면의 공간감은 두드러진다. 또한 행위의 흔적을 드러내지 않은 결과 화면은 고요함으로 가득 하게 된다.”
-김이순, 앞의 글-
대부분의 화가들에게 있어서 예술적 실천은 육체적 노동을 토대로 한다. 이에 대한 부정이 나타난 것은 서구의 경우 60-70년대에 나타난 개념미술이거니와, 노동의 산물로서 판매의 대상인 작품에 대한 부정이 아이디어에 의한 정보의 형태로 나타나기에 이른다. 그러나 회화의 경우에 있어서 모던한 언술행위는 육체적 노동과 함께 개념화 작용을 불러온다. 한국의 경우에 있어서도 서구의 미니멀 회화와 마찬가지로 이 개념화 현상이 나타났다. 70년대 한국 화단을 점유한 단색화가 당시 현대미술 혹은 전위미술의 등가물로 간주된 이면에는 단색화와 관련된 이론을 둘러싼 이 개념적 측면과 관련이 깊다. 그리고 그 중심에 소위 클레멘트 그린버그 류의 평면성 개념이 자리 잡고 있었다.
백성혜의 작업 역시 이 ‘평면성’의 개념과 무관치 않다. 회화는 2차원 평면을 토대로 한 예술형식이라는 사실에 대한 용인은 그녀의 회화적 언술행위를 모던한 것으로 간주하게 만든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서 백성혜가 대학시절 동양화를 전공한 사실을 상기하지 않으면 안 된다. 짐작컨대 그녀가 동양화를 직접 그리고 배운 이력은 모던한 단색화를 그녀 나름대로 해석하고 현재 보는 것과 같은 일련의 추상화에 적용하는 데 보탬이 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김이순이 백성혜 작품의 특징으로 간주한 ‘고요’나 내가 앞서 언급한 ‘담담한 심경’과 같은 어사(語辭)는 자연을 대하는 작가의 마음이 담긴 동양 산수화의 특징들로써 그녀의 작품에 대해 기술이 가능한 미학적 용어라고 할 수 있다.
관객이 백성혜의 작품을 보면서 고요하고 담담한 심정을 마음속으로 느꼈다면 그것은 상호간의 소통이 잘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거대한 화면이 주는 숭고한 감정마저 느낀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감정이 백성혜의 모든 작품에 다 통용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작품에서 보이는 거대한 파도와도 같은 일렁임은 오히려 역동감을 불러일으킨다. 이처럼 백성혜의 작품에는 양가적 측면이 있다. 그리고 그것은 그녀의 작업이 지닌 단점이라기보다는 오히려 향후 작업이 지향하는 데 따른 선택의 문제처럼 보인다.
칸트가 분석한 것처럼 숭고미는 ‘일체의 비교를 넘어선 절대적으로 큰 것’에서 느끼는 아름다움이다. 그러나 그는 또한 말한다. “숭고성은 자연의 사물 가운데에 있지 않고 우리의 심의(心意) 가운데에 있다(임마누엘 칸트, 「판단력비판」). 이는 다시 말해서 거대한 산과 같은 대상을 보고 숭고한 감정을 느끼는 주체는 인간의 마음이라는 말에 다름 아니다. 백성혜의 작품들은 대작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그것은 그 앞에 섰을 때 일말의 숭고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윤진섭
미술평론가
The Accumulation of Time and The Encounters of All Eternity: Sunghea Paik’s <A Thousand Ties>
Sunghea Paik’s art works are mostly abstract paintings whose tones are intermediate colors. The image on the big canvas where numerous dots are scattered, reminds us of the cosmos. The repeating wave-like patterns reminds us of an endless ocean. Sometimes there are tree nest-like shapes that appear up and down the canvas or S-typed waves across the screen but as these elements are also abstract, they do not specifically suggest anything. When looking into the image closely, there are small irregular linear shapes and small colored dots scattered evenly, however, the complete enormous canvas that seems to be shrouded in fog makes us feel something like the stillness of the beginning of the world or the serenity of silence before language was created.
Although it looks like a simple image, such painting undergoes long lasting endurance until it is filled with uniform dots of ethereal color. First, the artist begins her art work by making concave and convex texture on the canvas. Most of the art works contain big and small irregular lines projecting about 2-3 mm on all or partial parts of the screen. These are a kind of low relief made of several materials. Once this basic process is finished, the screen is coated with thick color paint (acrylic) and these colors define the tone of the art work. After the thick colored layers are dried, the artist coats them with nearly transparent thin colors. As paint layers are heaped through continuously repeated brush touches, the lines with irregular concave and convex texture on the background slowly become hidden or exposed and the thick background color slowly change into a vague medium-colored space. This painting could be viewed as the space of accumulated time and the field where the artist ‘s activities have congregated.
In order to understand Sunghea Paik’s art work process,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her career. She majored in Oriental paintings during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in Korea. Since then, she entered a graduate school in the United States majoring in Printmaking and returned to Korea. She was an active printmaker and some people remember her as so. However, her physical condition and interest changed with times and she came to grab the brush again. Some may think her art works have little connection because she changed her genre twice, but these diverse experiences became the cornerstone for her own distinctive painting style in terms of technique and aesthetics.
It would be hard to say that her base work of making concave and and convex texture on the canvas and her cared focus to the process itself are unrelated to her major, Printmaking. Similarly, the unique artistic element of the screen feeling both a 2-dimensional and spatial sense at the same time is deeply related to Oriental paintings. Her work processes to coat thick colors with thin colors several thousands times is an extension of so-called “Brewing” technique found in Oriental paintings. The reason why she loves to use water soluble acrylic paints instead of sticky oil paint would also be due to the fact that she drew Oriental paintings for a substantial amount of time. Like this, her art works formed by repeated coating with diluted paints demonstrate a collection of deeds and furthermore express the grains of time just how we would feel it from an old traditional Korean paper.
Whether it be a tone of blue or magenta, Paik’s screen is difficult to be defined in one certain color after it goes through the described process. Even if the screen is blue tone, as the brush strokes continuously overlap, the level of saturation and brightness varies and the nuance of colors would also diverge depending on which part of the screen. The spatial sense created by the overlapped paint layers and the screen that seems to be a diffused reflection of light resembles the weightless space of the cosmos. Yet, her image of the pating is not an expression of an actual physical space. More than an expression of existing objects, it is a spiritual imprint reached by remnants of the continuous overlaps of the brushstrokes, emulating the deep silence of meditation.
Relatively speaking, Paik’s art works can be interpreted in the scope of monochrome paintings(Dansekhwa). Actually being in the generation that entered university in late 1970’s, would be a link to monochrome paintings. Not only the monochrome but also the repeated brushstrokes can be associated with the methodology of monochrome(Dansekhwa) painters in the 1970’s. However, while repeated brushstrokes from monochrome painters in the 1970’s are interpreted as a devout “Practice”, repetition in Sunghea Paik’s art works signifies accumulation of time. Contrasting to monochrome painters such as Seo-bo Park, Sanghwa Jeong and Young-woo Kwon who emphasize their physical aspects by actively exposing the trace of activities, Sunghea Paik minimizes her trace of activities.
By barely exposing the complicated and enduring procedures of countless brushstrokes, the spatial sense of the screen becomes more significant and her screen is filled with stillness. This is how the endless and traceless brushstrokes can be associated with the deep silence of meditation in Buddism. Moreover, this could be a reflection of the artist’s tendency to silently observe objects with contemplation. In short, the monochrome screen of Sunghea Paik is based on the “Brewing” technique and her repeated brush touches has its distinctiveness as an “Act of Withdrawal” by removing the background colors while physically accumulating the paint.
So what is she ultimately trying to express? First of all, the irregular shapes formed on the very bottom layer of the canvas, at one glance, reminds us of “Informel” paintings. However, it doesn't seem to be from internal agony or wrath like the Informel painters tried to express but rather the emotions from daily experiences humans encounter as they live their lives. The irregular shapes are left as the base of the screen, but they are not exposed and the numerous brushstrokes cover them. Just how the stars of the night sky embrace everything and shine beautifully, the numerous brush touches hushes all of human thoughts,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to sleep. And on top of it, the big and small dots are placed.
Lee Sung Ja, a painter living in France, would depict the uncountable stars of the night sky she saw whilst flying back and forth from Korea to France, or the cosmos by laying dots on the canvas. However, the round circle or dots filling Sunghea Paik’s paintings are not the moons and stars of the visible outer world but an expression of encounters and relationships. As presented in the title “A Thousand Ties”, her art work is a metaphor for the ties formed in all of eternity. People and people, people and animals, people and objects and all existences on earth establish complicated relationships through infinite number of encounters. The encounters can be clearly remembered or sometimes disappear like dust. The countless dots filling the canvas are the evidence of her contemplation in regards to encounters, fate and relationships.
Sunghea Paik’s art works usually take several months to be produced. Of course this is because the art work is immense in size, but also the process of evening the image on the canvas with several thousand brushstrokes and placing the dots takes a long time. She simply goes to the atelier and back home almost every day with focus on her art work. This would be a reason why tranquility that can be found in a life of a meditator can be felt from her art work.
Sunghea Paik’s art work shows harmonization beyond the dualistic structure, namely, inside and outside. Just how visual objects and the internal mind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 physical size of the big canvas (physical space) makes the audience reside inside the paintings. To clarify, when appreciating art pieces of small sized canvas, it can be explored at a glance, which in turn makes the audience view their own space and the art work’s separately. However, because the big-sized canvas physically encloses the audience, the audience’s sight is captured inside the space of the paintings. The space of the audience and the space of the artwork becomes inseparable. Furthermore, Paik’s canvas is 2-dimensional but because it forms an elusive space with the numerously overlapped layers of paint, the audience submerge into an inexplicable space of infinity and experience sublimity.
Yi Soon Kim Ph.D:
Professor of Hong-Ik University
President of the Korean Art Critics Association
겹겹의 시간과 억겁의 만남 : 백성혜의 <천의 인연>
백성혜의 작품 대부분은 중간색이 주조를 이루는 추상 회화다. 대형 캔버스에 수많은 점이 흩어져 있는 화면은 우주 공간을 떠올리기도 하고, 무한히 반복된 물결 같은 무늬는 망망대해(大海)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또 캔버스의 상하를 가로지르는 나무 둥치 같은 형태가 등장하거나 S자형 파동 같은 형상이 화면을 가로지르기도 하는데, 이러한 요소들 역시 추상화(抽象化)되어 있으므로 어떠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는 않는다. 가까이 들여다보면 불규칙한 작은 선형(線形)과 작은 색점이 균질하게 흩어져 있지만, 안개에 싸인 듯한 거대한 화면은 전체적으로 태초의 고요함이랄까, 언어가 생기기 이전의 침묵과도 같은 고요함이 느껴진다.
일견 단순해 보이는 화면이지만, 균질하면서도 미묘한 색점이 채워진 화면이 생성되기까지는 지난한 작업 과정을 거치게 된다. 우선, 작가는 화면에 요철을 만드는 작업부터 시작한다. 작품 대부분은 2-3mm 두께로 튀어 오른 크고 작은 불규칙한 선들이 화면 전체 혹은 일부에 덮여 있는데, 이는 제소로 이루어진 일종의 저부조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기초 작업이 완료되면 화면 전체에 색이 진한 물감(아크릴)을 펴 바르는데, 이 색이 작품의 색조를 결정한다. 이 진한 색 바탕의 물감층이 마르고 나면 투명에 가까운 연한 색을 덧바른다. 수없이 반복되는 붓질에 의해 물감층이 쌓이면서 바탕의 불규칙한 요철의 선형들이 서서히 감춰지거나 드러나게 되고, 진한 바탕색은 서서히 중간색조의 어슴푸레한 공간으로 변화해간다. 이러한 화면은 시간이 축적된 공간이자 작가의 행위가 축적된 장(field)이라고 할 수 있다.
백성혜의 작업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이력을 잠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는 학부와 대학원에서 동양화를 전공했다. 그러다 미국에서 다시 대학원을 다니면서는 판화를 전공하고 귀국 후에는 줄곧 판화 작가로 활동했기 때문에 그를 판화 작가로 기억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판화의 제작 과정이 너무 어렵고 복잡하여 손에 무리가 왔기 때문에 다시 붓을 들게 된 것이다. 이렇듯 표현 장르를 두 번이나 바꾸다 보니 작품에 연계성이 부족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오히려 이러한 다양한 경험은 기법적으로나 조형적으로나 백성혜만의 독특한 회화세계를 구축하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
화면의 기초 작업으로서 요철을 만드는 작업이라든가 작업 과정 자체를 중시하는 것은 그가 판화를 전공한 사실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동시에 작품의 독특한 조형 요소라 할 수 있는, 2차원이면서도 깊은 공간감이 느껴지는 화면은 동양화와 관련이 깊다. 진한 색 위에 묽은 연한 색을 수천 번 붓질로 덧바르는 작업 방식은 동양화의 소위 ‘우려내기’ 기법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하겠다. 그가 끈적한 유채 물감 대신 수성의 아크릴물감을 즐겨 쓰는 이유도 짧지 않은 기간 동안 동양화를 그렸기 때문일 것이다. 이렇듯 물감을 물에 희석하여 반복적으로 겹쳐 칠하는 방법으로 형성된 화면은 행위의 축적을 보여주며, 나아가 오래된 창호지에서 느낄 수 있는 것과도 같은 시간의 결을 표현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백성혜의 화면은 푸른색조든 분홍색조든 한 가지 색으로 정의하기 어렵다. 푸른색이라 할지라도 수많은 붓질이 중첩되면서 채도와 명도가 달라지고, 한 화면에서도 부분마다 색의 뉘앙스가 다르다. 은은히 중첩된 물감층의 결과로 표현된 공간감과 빛의 난반사가 이루어진 듯한 화면은 흡사 무중력적인 우주 공간과도 같다. 하지만 그의 화면이 실재하는 물리적 공간을 표현한 것은 아니다. 그것은 어떠한 특정한 가시적 대상물의 표현이라기보다는 수많은 붓질이 중첩된 행위의 흔적으로, ‘묵언수행’과 같은 행위를 통해 도달한 심상(心想)이다.
백성혜의 작품은 기본적으로 단색조 회화의 범주에서 읽을 수 있다. 실제로 1970년대 후반에 대학을 다닌 세대이기 때문에 단색조 회화와 무관하다고 할 수는 없다. 단색조의 화면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붓질 역시 1970년대 단색조 화가들의 방법론과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1970년대 단색조 화가들의 반복적인 붓질이 흔히 ‘수행’의 차원에서 해석되는 것과 달리, 백성혜의 작품에서 반복은 시간의 축적을 의미한다. 또 박서보, 정상화, 권영우 등의 단색조 화가들이 행위의 흔적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면서 작가의 신체성을 강조하는 데 비해, 백성혜는 행위의 흔적을 최소화한다. 대신 이처럼 복잡하고 지난한 과정과 무수히 반복된 붓질이 잘 드러나지 않게 됨으로써 화면의 공간감은 두드러진다. 또한 행위의 흔적을 드러내지 않은 결과 화면은 고요함으로 가득 차게 된다. 흔적도 없이 끝없이 반복하는 붓질은 불가에 말하는 고요 속의 수행과도 상통하는 점이 있다. 이는 물론 과묵하게 사물을 관조적으로 바라보는 작가 개인의 성향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요컨대, 백성혜의 단색조 화면은 ‘우려내기’ 기법에 토대를 둔 것으로, 반복적 붓질은 물리적으로는 물감의 축적이지만 바탕색을 지워간다는 점에서는 ‘마이너스의 행위’라는 점에 그 독자성이 있다.
그러면 백성혜가 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일까. 우선, 캔버스의 가장 밑바닥을 이루고 있는 불규칙한 형상은 얼핏 앵포르멜 회화의 화면을 연상시킨다. 그러나 이는 앵포르멜 화가들이 표현하고자 했던 내적 고통이나 울분의 흔적이라기보다는 인간이 세상사를 살아가면서 맞닥뜨리게 되는 일상적 경험에서 배태된 심상으로 읽힌다. 불규칙한 형상들이 화면의 기조로 남아있지만 전면에 드러나지 않고, 수많은 붓질이 이를 덮는다. 밤하늘의 별이 모든 것을 품어 아름답게 빛나듯이 화면의 수많은 붓질은 인간의 모든 상념과 희로애락을 잠재운다. 그리고 그 위에 크고 작은 점들이 찍힌다.
김이순
홍익대학교 교수
한국미술평론가협회 회장